방송용 프로그램으로 XSplit과 OBS Studio를 많이 사용합니다.
XSplit은 720p 이상 송출을 원하시거나 동영상을 녹화하실 때, 워터마크가 보이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입문용으로 추천드리는것은 OBS Studio이고, 무료이며 다양한 세팅을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 설정(일반)
지금 보시는 설정 화면은 크게 중요한 것이 없습니다.
언어 설정이나 자신이 편한 테마를 고르시면 될 것 같네요!
2. 설정(방송)
저는 방송 용도로 사용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필요하신 분들이 계실 것 같아 간단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지원하는 방송 플렛폼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한국에서 유명한 플랫폼을 뽑아보자면
(1. Youtube 2. Twitch 3. Afreeca.TV 4. KakaoTV)
정도가 되겠습니다.
방송을 사용 하실 분들은 사용하실 플랫폼 선택 후 계정 연결을 클릭하시거나 플랫폼에서 주어진 스트림 키가 있습니다.
스트림 키를 해당 플랫폼의 아이디에 들어가셔서 받으시고 입력하신 후 방송 준비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 스트림 키 - 방송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트림 키의 노출 만으로도 타인이 당신의 아이디로 스트리밍을 할 수 있습니다.(주의!!)
3. 설정(출력)
출력 설정에 들어가기 앞서 작성자의 컴퓨터 사양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cpu : Ryzen 1600 3.7Ghz 1.275v
ram : DDR4 16gb (dual)
gpu : Nvidia 1070ti 8GB
저의 개인적인 의견은 제 사양으로는 고사양 방송에는 무리가 있지 않나 싶은 생각을 합니다.
(혹여나 방송을 희망하시는 분들중 저보다 사양이 낮으시지만 방송을 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타협점을 많이 찾으셔야 하실 겁니다.)
내가 원하는 방송이 고품격 60 fps 송출을 하고 싶으며, 1080p로 출력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에게 추천하는 가장 기본적 송출 세팅입니다.
지금부터는 방송, 녹화 탭이 동일한 설정이니 녹화 탭에서도 같이 적용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오디오 트랙은 뒤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st. 인코더:
내 그래픽 카드가 어느 정도 성능이 된다고 생각을 하실 때 NVENC H.264를 선택해주세요.
아니다. 내 그래픽 카드가 조금 못 버틸 것 같다 하시면 x264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둘의 차이는 그래픽카드를 많이 사용하여 인코딩을 할 것인가? cpu를 많이 사용하여 인코딩을 사용할 것인가?입니다.)
2nd. 데이터율 제어:
- *고정 비트레이트(Constant Bitrate, CBR) - 가변 비트레이트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전자 통신이나 컴퓨팅에서 출력 데이터가 일정하도록 하는 기술.(방송용으로 사용.)
- 가변 비트레이트(Variable BitRate, VBR) - 오디오나 비디오 인코딩 형식 중 하나이며, CRB에 비해 단위 시간당 출력하는 데이터의 양이 계속 변함.(단위 비트 당 할당하는 용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
- 일정 QP전송방식(Constant Quantization Parameter, CQP) - 일정한 QP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화면의 움직임에 따라 비트레이트 전송률이 틀려짐.(움직임이 많은 동영상일수록 비트레이트가 증가하며, 작을수록 비트레이트가 낮아짐.)
- 무손실 - 말 그대로 손실 없이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사양도 많이 먹으며 용량도 많이 차지함. (사용할 일이 없을 터이니 무시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3rd. 비트레이트:
동영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동영상의 품질, 용량 등을 책임지고 있죠.
* 해상도별 권장 설정
- 720p(30 fps) - 2500~4000 Kbsp
- 720p(60 fps) - 3000~5000 Kbsp
- 1080p(30 fps) - 4000~6000 Kbsp
- 1080p(60 fps) - 6000~10000 Kbsp
4th. 키 프레임 간격:
2초를 가장 추천드리며 4초를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동영상을 탐색할 시 간격이 넓어지면 용량이 줄어드는 장점은 있지만 검색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도 존재.)
5th. 사전 설정:
(낮은 지연 시간 및 품질)을 선택해 줍시다. 렉이 걸리신다면 (낮은 지연 시간 및 성능) 선택.
6th. Profile: main으로 설정을 해 줍시다.
7th. 오디오 트랙 - 3번 탭에 오디오로 넘어가시면 트랙이 있으실 겁니다.
음악을 송출하거나 음악방송을 하시는 분들은 320을 선택하시면 되겠지만 일반적인 방송을 하신다면 192를 권장.
나머지는 기본 세팅!
녹화 형식은 따로 인코딩하시기 싫으시면 mp4, 여러 가지 음성을 넣고 싶으시다면 mkv 나머지는 비추입니다.
4. 설정(오디오)
다른 거 다 필요 없습니다! 사운드, 마이크 모두 윈도에서 적용하셨더라면 기본장치로 설정해 놓으시면 됩니다!
맨 위의 샘플 레이트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스피커나 헤드셋의 주파수를 절정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일반적인 방송이라면 스테레오, fps 같은 공간감각이 필요한 게임은 7.1 세팅을 하셔도 좋습니다.
*주파수 보는 법 - 검색 ->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소리 -> 소리 -> 기본장치(아이콘 옆에 나타난 것) 더블클릭 -> 고급에서 볼 수 있습니다.
5. 설정(비디오)
기본(캔버스) 해상도 - OBS 실행창에 보이는 화면의 해상도입니다. (밑에 보이시는 빨간 테두리 화면)
출력(조정된) 해상도 - 송출 시, 녹화 시 출력되는 해상도입니다. 만약 720p로 송출하시고 싶다.
하시면 1280x 720으로 변경하시고 송출하셔도 무관합니다. (녹화도 720p로 저장이 됩니다.)
축소 필터 - 이것도 사양마다 설정을 달리 해주셔야겠지만 웬만해서는 저와 같이 Lanczos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fps 출력 값 - 사용자가 원하는 fps를 설정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6. 설정(단축키)
보시는 그대로 편의를 위한 단축키 세팅입니다. (사용자가 편하게 입맛에 따라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7. 설정(고급설정)
아마 이건 기본값으로 세팅을 했던 것 같습니다.
손을 보았다 해도 프로세스 우선순위만 높음으로 했을 것이고, 방송하실 분들은 지연시간 설정하시면 되겠습니다.
ps. 블로그 만들고 처음 쓴 글이네요.
누구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전문가는 아니기에 전문가분께서 지적을 해주신다면 달게 받고
빠르게 수정하겠습니다!
방송, 유튜버는 레드오션입니다. 제가 당부하는 말씀은 돈을 쫓지 마시고 취미로 해보시는 걸 추천드릴게요!
어쩌다 잘 될지 누가 알겠습니까?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Desktop Ut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o Uninstaller(제거 프로그램) (0) | 2020.05.05 |
---|